판무저장소 로고

시간, 길이, 무게 단위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무협 세계관에서 자주 다루는 무게, 시간, 거리 단위 등을 정리한 것이다.
길이, 무게를 간편하게 척관법 도량형으로 바꾸려면 거리, 무게 변환기를 이용하면 된다.

시간 단위

판무저장소 무협 시간표

과거에는 시간 단위를 12개의 단위로 끊어서 사용했다. 12간지의 시간으로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자’로 시작하여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로 시간이 진행된다. 현대로 따지자면 각 12간지 시간은 두 시간이다. 그래서 무협의 기본 한 시간(시진) 단위는 두 시간이 된다.

  • 자시(子時) 오후11시 ~ 오전 1시
  • 축시(丑時) 오전 1시 ~ 오전 3시
  • 인시(寅時) 오전 3시 ~ 오전 5시
  • 묘시(卯時) 오전 5시 ~ 오전 7시
  • 진시(辰時) 오전 7시 ~ 오전 9시
  • 사시(巳時) 오전 9시 ~ 오전11시
  • 오시(午時) 오전11시 ~ 오후 1시
  • 미시(未時) 오후 1시 ~ 오후 3시
  • 신시(申時) 오후 3시 ~ 오후 5시
  • 유시(酉時) 오후 5시 ~ 오후 7시
  • 술시(戌時) 오후 7시 ~ 오후 9시
  • 해시(亥時) 오후 9시 ~ 오후11시

시간 단위 상세

하루의 시간을 12개로 나누는 12간지 시간으로는 문제가 많다. 두 시간이면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선조들은 각 12간지 시간을 앞 뒤로 나누었다. 앞 부분의 한 시간을 초(初)라고 불렀으며, 뒷 한 시간을 정(正)이라 칭한다.

  • 자시초(子時初) : 23시부터 24시까지   자시정(子時正) : 24시부터 01시까지.
  • 축시초(丑時初) : 01시부터 02시까지   축시정(丑時正) : 02시부터 03시까지.
  • 인시초(寅時初) : 03시부터 04시까지   인시정(寅時正) : 04시부터 05시까지.
  • 묘시초(卯時初) : 05시부터 06시까지   묘시정(卯時正) : 06시부터 07시까지.
  • 진시초(辰時初) : 07시부터 08시까지   진시정(辰時正) : 08시부터 09시까지.
  • 사시초(巳時初) : 09시부터 10시까지   사시정(巳時正) : 10시부터 11시까지.
  • 오시초(午時初) : 11시부터 12시까지   오시정(午時正) : 12시부터 13시까지.
  • 미시초(未時初) : 13시부터 14시까지   미시정(未時正) : 14시부터 15시까지.
  • 신시초(申時初) : 15시부터 16시까지   신시정(申時正) : 16시부터 17시까지.
  • 유시초(酉時初) : 17시부터 18시까지   유시정(酉時正) : 18시부터 19시까지.
  • 술시초(戌時初) : 19시부터 20시까지   술시정(戌時正) : 20시부터 21시까지.
  • 해시초(亥時初) : 21시부터 22시까지   해시정(亥時正) : 22시부터 23시까지.

각(刻)

과거 두루뭉술한 시간 개념에서 각이라는 개념은 하루를 100으로 나뉜 단위이다. 즉 24시간 * 60분의 값인 1,440분을 100으로 나누면 14.4분이라는 값이 나온다.

상기 계산법은 시헌력(時憲曆) 이전에 나온 개념이었고, 시헌력에서는 하루를 12개로 나눈 각각을 시(時)라 부르고, 그 시를 8로 나눈 걸 일 각이라 칭했다. 즉, 두 시간을 8개로 나누면 15분이 된다.

즉, 무협에서 자주 쓰이는 1각()이라는 단위는 15분이라 생각하면 된다.

일다경(一茶頃)

차를 한 잔 마실 시간이라는 뜻으로 매우 짧은 시간을 뜻한다. 굳이 현대로 따지자면 15분 정도 된다고 한다.

식경(食頃)

한 식경은 밥을 먹을 동안이라는 뜻이다. 대략적으로 밥을 먹는 시간이니 30분 ~ 60분까지로 기준을 잡으면 된다.

다경과 식경은 정확한 시간을 뜻하지 않고 관념적인 시간 단위다. 잠시 차 한잔 마실 시간, 식사 한 끼 먹을 시간으로 대략적이고, 심리적인 시간을 뜻하고 있다.

시진(時辰)

무협 세계관에서 1시진 = 2시간이다. 12간지에 기본이 되는 시간이 두 시간 단위로 띄워져 있기에 한 시진은 두 시간이 된다. 그렇기에 1시간을 표현하고 싶다면, [반 시진]이라 칭하면 된다.

길이 단위

척관법(尺貫法)을 사용한다. 고대 중국부터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사용하던 전통적인 도량형이다. 척근법(尺斤法)이라 불리기도 한다. 척관법은 기술적인 문제로 각 국가나 시대마다 다른 기준을 적용했지만, 해당 문서에서는 현재 통용되는 단위에 관하여 서술하였음.

1치(寸), 1촌(寸)

3.03cm. 손가락 마디 수준의 길이를 말함.

1척(尺), 1자(尺)

30.30 cm. 월척(越尺)이라는 단어에도 척이라는 단위가 쓰이고 있다.

1장(丈)

3m. 1자(尺)에 열 배를 뜻하는 단위이다.

간(間)

1.81818m. 1척(尺)의 6배를 뜻하는 단위.

리(里)

400m. 시대, 국가마다 기준점이 명확히 다르다. 대략적으로 400m라고 생각하면 된다.

무게

  • 푼(分) : 0.375g
  • 모(毛) : 3.75mg
  • 돈 : 3.75g
  • 냥(兩) : 37.5g
  • 근(斤) : 고기나 한약재는 600그램, 과일이나 채소는 375그램에 해당.
  • 관(貫) : 3.75kg

척관법 정리

길이넓이부피무게
모(毛) : 0.303mm평(坪)·보(步) : 3.3058㎡로, 6자의 제곱작(勺) : 18mL푼(分) : 0.375g
홀(忽) : 0.0003mm(30,000분의 1mm)묘(畝) : 99.174㎡로, 30평홉 : 180mL모(毛) : 3.75mg
사(絲) : 0.003mm(3,000분의 1mm)단(段) : 991.74㎡, 300평되(승, 升, 또는 되승) : 1,8리터돈 : 3.75g
리(厘) : 0.03mm(300분의 1mm)정(町) : 9,917.4㎡, 3,000평말(두, 斗) : 18리터냥(兩) : 37.5g
푼(分) : 0.3cm(3mm)마지기 : 논은 150~300, 밭은 100평섬(석, 石) : 180리터근(斤) : 고기나 한약재는 600그램, 과일이나 채소는 375그램에 해당.
치(寸) : 3.03cm(30.3mm)작(勺) : 0.0330579㎡로 한 평의 100분의 1곡(斛)·휘·괵(斛) : 스무 말들이하고 열닷 말들이가 있다.관(貫) : 3.75kg
자·척(尺) : 30.3cm(303mm)홉 : 1평의 10분의 1
장(丈) : 3m
간(間) : 1.81818미터로 자(척)의 6배
정(町) : 약 109미터로 1간(間)의 60배
리(里) : 400미터

기타 단위

  • 마지기 : 논밭의 넓이의 단위 (논은 200~300평, 밭은 100평 내외)
  • 모 : 두부나 묵 따위와 같이 모난 물건을 수량을 나타내는 단위
  • 사리 : 국수, 새끼 같은 것을 사리어 놓은 것을 세는 단위
  • 첩 : 한방약 1 봉지
  • 톨 : 밤, 도토리, 마늘 같은 것을 세는 단위
관련 글 모아보기
판무저장소 사이트의 운영자 또한, 글을 쓰기 위한 자료를 보기 좋게 정리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무협, 판타지, 현판 등 장르에 가리지 않고 문서를 모으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목차